홈 > 보고서 > 보고서
보고서
 

현장활성화방안 연구보고서

금속노조연구원   |  

1. 현장(운동/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의 의미와 연구 과정


 


민주노조운동이 위기라는 진단은 너무 흔한 얘기가 되어 있다.


위기의 징표는 노동조합 조직률의 하락에서부터 계급대표성의 위기가 제기되기도 하고, 신자유주의공세로 인한 탈규제, 민영화, 노동의 유연화 공세는 노동계급의 구성을 파편화 시키고, 상시적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노동조합 활동의 위축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위기의 지표는 이러한 외부적 요인도 있으나 노동조합 내부적인 요인도 위기적 징후가 크다는 지적도 있다.


노동조합운동의 목표는 무엇이며, 87년 노동자 투쟁 이후 제기되었던 노동해방의 목표는 상실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따라 민주노조운동이 전체 노동계급을 대변하는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민주노조운동의 노선적, 이념적 목표의 상실과 재구성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적은 한국사회가 1998년 경제위기 이후 노동대중의 보수화, 실리화 되었으며, 그 결과 노동운동의 방향 전환의 불가피성, 사회변화에 따른 계급성의 해체가 운위되기도 한다.


그러한 가운데 노동조합 현장도 이러한 현상과 무관할 수 없으며, 현장활동에 대한 위기적 진단이 제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단에는 주요 대공장에서 활동하는 현장조직(운동)에 대한 비판과 비난이 함께 제기된다.


노동조합운동의 위기를 초래한 요인 중에서 현장조직운동의 다른 이름으로 표현되는 정파갈등과 정파적 운동과 패권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현장조직이 본래의 순기능 보다는 다른 쟁점들을 삼키는 대표적 폐해를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결과 정파문제는 만병의 원인은 아니지만 만병 치유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진단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특히 (대공장)정규직 이기주의로 표현되는 대공장운동에 대한 공격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대공장에서 1사 1조직이 실현되지 못하는 조건에서 더욱 증폭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민주노동당의 분당으로 인한 현장에서의 정치적 갈등의 확대는 현장단위의 갈등구조를 재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조건에서 현장(운동/활동) 활성화는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가에 대한 관점에서 문제의 원인과 해결점을 찾고자 하였다.


현장(조직)의 현장 활동에 대한 진단을 통해 현장활동의 어려움과 현장조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 노동조합활동의 과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장조직들의 출범의 계기와 활동에 대한 자기진단을 해 보고, 현장조직의 전국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민주노조운동과 현장(조직)활동의 관계 속에서 민주노조운동이 나아갈 방향을 찾고자하였다..


이를 통해 금속노조가 발전해 가는 데에 있어 걸림돌과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한편 현장(운동/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해 주요 대공장 현장제조직 의장단, 지역현장조직 활동가, 전국현장조직 활동가들 50명에 대한 면접조사와 자료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하 첨부 파일 참조>